1. 연산자란?
일반적으로 사칙연산등을 하는 일련의 작업을 연산작업이라고 한다.
종류 : 산술, 문자 결합, 대입(복합대입), 증감, 비교, 논리, 삼항 조건 연산자
2. 산술연산자
이항 산술 연산자 | 의미 |
+ | 덧셈 |
- | 뺄셈 |
* | 곱셈 |
/ | 나눗셈 |
& | 나머지 |
<script>
var num1 = 15;
var num2 = 2;
var result;
result = num1 + num2;
document.write(num1 + " + " + num2 + " = " + result + "<br>"); // 15 + 2 = 17
result = num1 - num2;
document.write(num1 + " - " + num2 + " = " + result + "<br>"); // 15 - 2 = 13
result = num1 * num2;
document.write(num1 + " x " + num2 + " = " + result + "<br>"); // 15 * 2 = 30
result = num1 / num2;
document.write(num1 + " ÷ " + num2 + " = " + result + "<br>"); // 15 / 2 = 7.5
result = num1 % num2;
document.write(result + "<br>"); // 15 % 2 = 1
</script>
3. 문자 결합 연산자
더하기 연산에 문자형 데이터가 한 개라도 들어있으면 다른 데이터들은 자동으로 문자형 데이터로 형변환된다.
<script>
var t1 = "학교종이";
var t2 = "땡땡땡";
var t3 = 8282;
var t4 = "어서 모이자";
var result;
result = t1 + t2 + t3 + t4;
document.write(result);
</script>
4. 대입 연산자
연산된 데이터를 변수에 저장할 때 사용한다.
<script>
var num1 = 10;
var num2 = 3;
num1 += num2; //num1 = 10 + 3
document.write(num1, "<br>");
num1 -= num2; //num1 = 13 - 3
document.write(num1, "<br>");
num1 *= num2; //num1 = 10 * 3
document.write(num1, "<br>");
num1 /= num2; //num1 = 30 / 3
document.write(num1, "<br>");
num1 %= num2; //num1 = 10 % 3
document.write(num1, "<br>");
</script>
복합대입연산자
<script>
var str = "<table border='1'>";
str += "<tr>";
str += "<td>1</td><td>2</td><td>3</td>";
str += "</tr>";
str += "</table>";
document.write(str);
</script>
5. 증감 연산자
연산된 데이터를 변수에 저장할 때 사용한다.
변수 ++ : 먼저 변수가 실행되고, 1을 더한다.
++ 변수 : 먼저 1을 더하고, 변수를 실행한다.
변수 -- : 먼저 변수가 실행되고, 1을 뺀다.
-- 변수 : 먼저 1을 빼고, 변수를 실행한다.
<script>
var num1 = 10;
var num2 = 20;
var result;
num1--; // num1 = 10 - 1 = 9
document.write("num1 = " + num1, "<br>");
num1++; // num1 = 9 + 1 = 10
document.write("num1 = " + num1, "<br>");
result = num2++; // result = 20, num2 = 21
document.write("num2 = " + num2, "<br>");
document.write("result = " + result, "<br>");
result = ++num2; // num2 = 22, result = 22;
document.write("num2 = " + num2, "<br>");
document.write("result = " + result, "<br>");
</script>
6. 비교 연산자
두 데이터를 크다, 작다, 같다와 같이 비교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이다.
결과값은 true 또는 false로 반환한다.
<script>
var a = 10;
var b = 20;
var c = 10;
var d = "10";
var e = 10;
var f = "20";
var result;
result = a > b; //false
document.write(result + "<br>");
result = a < b; //true
document.write(result + "<br>");
result = a <= b; //true
document.write(result + "<br>");
result = b <= d; //false 문자형과 숫자형 비교
document.write(result + "<br>");
result = b <= f; //true 문자형과 숫자형 비교
document.write(result + "<br>");
result = b == f; //true 문자형과 숫자형 비교
document.write(result + "<br>");
result = a != b; //true
document.write(result + "<br>");
result = b === f; //false 변수형까지 동일해야 true
document.write(result + "<br>");
result = c != d; //false 값만 같아도 false
document.write(result + "<br>");
result = c !== d; //true 변수형까지 동일해야 false
document.write(result + "<br>");
result = c !== e; //false 변수형이 달라야 true
document.write(result + "<br>");
</script>
7. 논리 연산자
두 데이터를 크다, 작다, 같다와 같이 비교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이다.
결과값은 true 또는 false로 반환한다.
논리 연산자 | 의미 |
|| | 논리합(OR) |
&& | 논리곱(AND) |
! | 부정(NOT) |
8. 연산자 우선순위
- ()
- 단항 연산자(--, ++, !)
- 산술 연산자(*, /, %, +, -)
- 비교 연산자(>, >=, <, <=, ==, ===, !==, !=)
- 논리 연산자(&&, ||)
- 대입(복합 대입) 연산자(=, +=, -=, *=, /=, %=)
<script type="text/javascript">
var a=10;
var b=20;
var m=30;
var n=40;
var result;
result= a>b || b>=m || m>n; // false || false || false
document.write(result,"<br />"); // false
result= a>b || b>=m || m<=n; // false || false || true
document.write(result,"<br />"); // true
result= a<=b && b>=m && m<=n; // true && false && true
document.write(result,"<br />"); // false
result= a<=b && b<=m && m<=n; // true && true && true
document.write(result,"<br />"); // true
result= !(a>b); // !false
document.write(result,"<br />"); // true
</script>
9. 삼항 조건 연산자
조건식의 결과에 따라 실행 결과가 달라지는 삼항 연산자이다.
조건식 ? 자바스크립트 코드 1 : 자바스크립트 코드2
조건식이 일치(true)하면 왼쪽 항이 실행되고, 일치하지 않으면(false) 오른쪽 항이 실행된다
<script>
var a = 10;
var b = 3;
var result = a > b ? "javascript" : "hello";
document.write(result); //jvaascript
</script>
10. 총 정리 실습
예제1) 적정 체중을 구하는 테스트기 만들기
적정 체중 계산법 : 적정체중 = (본인 신장 - 100) X 0.9
<script>
var userHeight = 180; //신장
var userWeight = 74; //몸무게
//평균 체중 = (키 - 100) * 0.9
var normal_w = (userHeight - 100) * 0.9;
document.write(normal_w);
</script>
예제2) 적정 체중을 구하는 테스트기 만들기
<script>
var name = prompt("당신의 이름은?", "");
var height = prompt("당신의 신장은?", "0");
var weight = prompt("당신의 몸무게는?", "0");
var normal_w = (height - 100) * 0.9;
var result = weight >= normal_w - 5 && weight <= normal_w + 5;
result = result ? "적정 체중입니다." : "적정 체중이 아닙니다.";
document.write(name +"님은 "+ result);
</script>
prompt창을 이용해 값을 입력 받으면 적정체중인지 아닌지를 계산해주는 코드이다.
참고 : ⌜Do it! 자바스크립트 + 제이쿼리 입문⌟ 책을 공부하며 요약・정리한 내용입니다.
'🎨 Web_Front end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벤트 (0) | 2023.04.26 |
---|---|
함수 (0) | 2023.04.26 |
객체 (내장객체, 브라우저 객체 모델, 문서 객체 모델) (0) | 2023.04.25 |
제어문 (조건문, 선택문, 반복문) (0) | 2023.04.25 |
변수 (0) | 2023.04.24 |